대한민국에는 많은 기념일이 있습니다. 이런 날들은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어 많은 이들에게 행복한 휴식을 주지만 이 날이 빨간 날이 되기까지 많은 일들이 있었고 단순한 쉬는 날이 아닌 국기를 게양하는 뜻깊은 날임을 다시 한번 새기면서 태극기의 뜻과 다는 법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태극기는 단순하게 집 베란다에 걸어두는 게 아니라 국경일, 기념일에 따라 그리고 조의를 표하는 날에 따라, 각자 집의 주거 형태마다 게양하는 법이 다르니 꼭 올바르게 알고 달아봐야 하겠습니다.
태극기란 무엇인가?
태극기는 대한민국의 국기로 흰색 바탕에 중앙에 적색과 청색의 태극을, 사방 모서리 대각선에는 검은색 건. 곤. 이. 감의 사괘가 그려져 있습니다. 태극은 우주 자연의 궁극적 생성 원리를 상징하며 붉은색은 존귀와 양을, 파란색은 희망과 음을 의미합니다. 1982년 조미 수호통상 조약과 일본 수신사 일행에서 처음 사용되기 시작했고 1948년 정부 수립을 계기로 규격을 통일했으며 이 원칙이 지금까지 준수되고 있습니다.
게양 방법은?
국경일과 기념일 - 3.1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국군의 날로 깃봉과 깃면 사이를 떼지 않고 가장 윗부분에 게양합니다.
조의를 표하는 날 - 현충일과 국장기간, 국민장 등이 있을 때는 조의를 표해야 하므로 깃면의 세로 너비만큼 내려서 달아야 합니다.
태극기 다는 시간
3월부터 10월 사이에는 오전 7시부터 오후 6시까지
11월부터 11월 사이에는 오전 7시부터 오후 5시까지
태극기 다는 곳
단독주택 - 집 밖에서 바라볼 때 대문의 왼쪽 또는 중앙
아파트 - 집 밖에서 바라볼 때 베란다의 왼쪽 또는 중앙
건물 - 옥상이나 비를 가려주는 차양시설 위의 중간, 출입구의 위 벽면 중앙
이상으로 간단하게 태극기 다는 방법과 시간, 위치까지 알아봤습니다. 이런 국가 기념일들은 시간이 지나도 계속해서 변하지 않고 있기에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기본적으로 알아두고 실천하는 것이 어떨까 하는 생각입니다.
'아는것이 힘이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브 프리미엄 그나마 싸게 보는 방법 (1) | 2023.12.14 |
---|---|
2022 근로장려금 신청방법 - 꼭 챙겨먹자 (0) | 2022.03.31 |
2021년 10월 공모주 일정 미리 체크하시고 벌어가세요 (0) | 2021.10.02 |
제3차 경기도 재난 기본소득 꼭 신청하세요 받을 수 있습니다 (0) | 2021.10.02 |
가상인간 우주 차은우 빼닮은 남성형 사이버 휴먼 잘생겼다 (0) | 2021.09.26 |
댓글